HYEBEEN YEOM

애착 인형,

너와 나의 관계

“나는 아이와 애착 인형의 작은 몸짓 속에서 드러나는 정서적 교감을 포착하고, 모든 아이가 사랑받으며 평온하게 성장하길 바라는 마음을 화면에 담는다.”

나는 아이와 애착 인형 사이에서 발생하는 정서적 관계에 주목한다. 인형이나 이불 같은 일상의 사물은 단순한 물건이 아니라 정서적 안정을 매개하는 존재다. 아이가 그것을 껴안거나 쓰다듬는 몸짓에는 보호받고자 하는 마음과 사랑받으며 자라야 하는 조건이 담겨 있다. 이러한 행동은 겉보기에는 사소하지만, 아이의 내면을 지탱하는 중요한 구조를 드러낸다.

아이와 애착 인형이 맺는 관계를 바라본 경험은 작업의 방향을 결정하는 계기가 되었다. 아이는 인형 곁에서 평온함을 느끼며 마음의 균형을 회복했다. 그 모습은 단순한 습관이 아니라 존재를 조절하는 방식처럼 보였다. 인형을 껴안은 채 잠든 모습이나 질감을 확인하는 손끝은 “모든 아이가 사랑받으며 안정된 환경 속에서 성장해야 한다”라는 전제를 떠올리게 했다. 낡은 인형은 아이가 쌓아온 신뢰의 흔적이며, 그 곁에는 언제나 주변 어른들의 따뜻한 시선이 존재한다. 이 경험은 개인의 기록을 넘어, 모든 아이가 지녀야 할 보편적인 필요를 드러낸다.

나는 작업에서 특정 인물을 강조하기보다 관계의 구조를 드러내는 방식을 선택한다. 아이의 얼굴을 생략하고 손, 팔, 접촉의 제스처를 전면에 배치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얼굴은 감정을 직접적으로 드러내지만, 오히려 해석을 제한할 수 있다. 반면 손의 움직임은 더 함축적이며 감정의 흐름을 간접적으로 전달한다. 이를 통해 관람자는 인물을 특정하지 않고 자기 경험을 자유롭게 대입할 수 있다. 화면은 개인의 장면에서 출발하지만, 관계의 패턴을 추출함으로써 보편적 정서로 확장된다. 나는 작품을 감상의 대상으로만 두기보다, 개인의 기억과 감정이 조용히 떠오를 수 있는 정서적 공간으로 만들고자 한다. 이러한 장면은 서로 다른 경험을 연결하며, 나의 관심은 단순한 모성의 표현이 아니라 인간이 타인과 맺는 가장 원초적인 관계의 형태를 시각화하는 데 있다.

작업 과정에서 나의 어린 시절 기억이 자연스럽게 떠오르곤 한다. 부모와의 관계에서 느꼈던 결핍은 쉽게 사라지지 않았지만, 아이를 돌보는 경험과 맞물리며 새로운 의미를 형성했다. 시간이 지날수록 “아이들이 안전하게 성장할 수 있는 환경”에 대한 생각은 더 분명해졌다. 사회에서 들려오는 아이들의 불안한 현실은 이 주제를 더욱 현실적인 문제로 체감하게 한다. 직접 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지만, 장면을 기록하는 행위를 통해 그 필요를 시각화하고자 한다. 이는 예술적 표현을 넘어, 내가 세상을 바라보는 태도와도 연결된다.

결국 나의 작업은 작은 몸짓 속에 담긴 정서적 밀도를 관찰하고, 그것을 시각적 언어로 번역하는 과정이다. 아이와 인형이 만들어내는 친밀한 순간은 개인의 기억을 담고 있지만, 동시에 관람자가 자기 경험을 되돌아보게 하는 매개가 된다. 화면 속 손길과 포옹은 각자의 기억과 접속하며 조용한 울림을 만든다. 나는 그 지점에서 예술의 역할이 시작된다고 생각한다. 작품이 누군가에게 잠시 머무를 수 있는 정서적 공간이 되기를 바라며, 이러한 태도는 앞으로의 작업을 이어가는 기반이 된다.

Comfort Object,

The Relationship Between You and Me

“I capture the subtle emotional communion revealed in the small gestures between a child and a comfort object, and I paint with the hope that every child may grow up feeling loved and at peace.”

I focus on the emotional relationship that forms between a child and a comfort object. Everyday items such as dolls or blankets are not merely possessions but act as mediators of emotional stability. When a child hugs or gently strokes them, these gestures carry the desire to be protected and the fundamental need to grow while being loved. Although such actions may appear small, they reveal the deeper structures that support the child’s inner world.

Watching my own child with their comfort object became a turning point in shaping the direction of my practice. The child felt calm beside it and regained emotional balance. What appeared to be a simple habit was, in fact, a way of regulating the self. A child sleeping while holding the object, or tracing its texture with their fingertips, evokes the belief that every child should grow in a loving and secure environment. A worn comfort object holds traces of accumulated trust, and beside it, there is always the warm gaze of nearby adults. This experience extends beyond personal memory and reflects a universal need shared by all children.

Rather than emphasizing a specific individual, I choose to reveal the structure of relationships. I often omit faces and instead foreground hands, arms, and gestures of touch. While a face conveys emotion directly, it can also limit interpretation. In contrast, the movement of hands is more suggestive and communicates emotional flow indirectly. This allows viewers to engage without identifying a specific person and instead project their own experiences. Although each image begins with a personal moment, it expands into a universal emotion by extracting relational patterns. I aim for my work to become not just an object of observation, but a space where memories and emotions quietly surface. Such scenes bridge different experiences, and my interest lies not in depicting motherhood, but in visualizing the most primal forms of human connection.

As I work, memories from my own childhood naturally resurface. The sense of lack I once felt in my relationship with my parents did not fade easily, but when intertwined with the experience of caring for my children, it formed new meaning. Over time, the belief that children must be able to grow in a safe environment became even clearer. The unsettling realities faced by children in society make this theme feel urgent and tangible. Although I cannot solve these issues directly, I seek to make this need visible through the act of recording such moments. This extends beyond artistic expression and reflects the way I view the world.

Ultimately, my work is the process of observing the emotional density contained within small gestures and translating it into visual language. The intimate moments shared between a child and a comfort object hold personal memory, yet become a medium through which the viewer reflects on their own experiences. The gentle touch and embrace on the canvas connect with individual memories and create a quiet resonance. I believe the role of art begins at that point. I hope my work becomes an emotional space where someone can pause and feel held. This belief continues to guide the direction of my practice.